이전 글과 내용이 이어집니다.
https://lunardev.tistory.com/7
Windows 11 24H2 버전 업데이트 이후 발생하는 오류 및 24H2로 업데이트 비활성화
Microsoft에서 Windows 10에 대한 공식 지원 종료를 2025년 10월 14일에 종료함에 따라 최근 Windows 11로의 업데이트를 하시는 사용자분들이 많은데, Windows 11 24H2 (최신 버전)으로의 업데이트 이후 정상적
lunardev.tistory.com
Windows 11 24H2 버전의 여러 이슈들로 인해 23H2 버전 또는 그 이하의 버전을 이용중이거나, 업데이트를 차단 하고 사용하는 중인데
이전 게시글대로 조치했는데도 Windows 업데이트에 들어갔을 때 이미 24H2가 다운로드되어 재부팅을 하라고 업데이트 알림이 떠 있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그에 대한 조치 방법입니다.
이미 원치 않는 24H2버전이 다운로드 되어 위 사진처럼 지금 다시 시작이라고 되어있을 경우에, 다운로드 된 24H2 버전의 업데이트 파일을 직접 삭제를 해주어야 합니다.
시작 - 실행 - CMD(명령 프롬프트) 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줍니다.
이후 CMD 창에 아래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해줍니다.
net stop wuauserv
net stop BITS
net stop CryptSvc
rd /s /q "%systemroot%\SoftwareDistribution\Download
위 4개의 문장 중 net stop이 들어간 3개의 문장은 각각
1. Windows 업데이트 서비스 중지
2.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중지 ( 시스템 관리자가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HTTP 웹 서버 및 SMB 파일 공유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데 사용)
3. Cryptographic 서비스 중지 ( 윈도우 파일의 서명을 확인하는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총괄하는 서비스)
입니다.
이후 마지막 문장을 통해 다운로드 된 Windows 업데이트 다운로드 폴더를 삭제해주는 문장을 실행 해 주시면
일정 시간 이후 업데이트 파일이 삭제가 됩니다.
해당 업데이트 파일 삭제 후 시작 - 그룹 정책 편집을 검색해서 들어가줍니다.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업데이트에서 제공된 업데이트 관리 - 대상 기능 업데이트 버전 선택을 찾아서 정책 설정 편집을 눌러줍니다.
사용(E) 을 눌러준 후, 옵션 부분에 각각 Windows 11, 23H2 를 입력 후 적용, 확인을 진행합니다.
위 방법대로 진행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Windows 업데이트 알림이 사라지고, 이전 글인 Windows 11 24H2 버전 업데이트 이후 발생하는 오류 및 24H2로 업데이트 비활성화 까지 진행해주시면
실수로 업데이트 확인 버튼을 누르더라도 원치 않는 24H2 버전으로의 업데이트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